대학생활

CAMPUS
  • 대학생활
  • 대학소식

대학소식

공지
[저서(eBook)출판_강응섭 교수, 이유섭 교수 외] 정신분석과 예술
2025.11.04

 

정신분석과 예술
이유섭(명지전문대학 명예교수), 강응섭(예명대학원대 교수),

민숙동(예명대학원대 박사졸업), 강형숙(예명대학원대 박사졸업),

김현주(예명대학원대 박사과정), 강지현(예명대학원대 박사과정),

김보미(예명대학원대 박사과정), 이정우(예명대학원대 박사과정) 공저

박영스토리 | 2025-10-30

 

● 책소개

예술은 우리의 인간성과 진실을 말한다.
우리는 인간의 운명과 삶, 역사와 현재, 정신심리의 역동성 등을 예술을 통해 감지한다. 문학, 음악, 미술, 영화, 드라마 등 예술을 통해 우리는 좀 더 고양되고 성숙한 견해를 체득한다. 예술은 삶의 체험과 현실에 관해 어떤 직관력을 제공하고 인생살이의 중요한 모습, 인간관계의 모습을 잘 엮어가고 풀어가는 방법을 보여주는 일련의 언어 담화이자 세상을 보는 마음의 눈이다. 이 눈은 예술가 자신도 알지 못하는 가운데 부지불식간에 드러난다. 예술가는 자기 자신도 알지 못하는 무
의식 세계를 드러내 보이는 연출자인 것이다.
정신심리 분석의 관점에서 이렇게 한 예술 작품이 의미를 부지불식간에 분출해내는 것은 거기에 무엇인가 의식의 결여 상태, 의식이 생각하지 못한 빈 자리, 알 수 없는 무의식의 부분이 그 작품 속에 숨어 있다는 의미이다. 그래서 예술적 행위, 예술적 의미는 그 무의식을 간파하게 될 때 생생하게 살아 있게 된다. 그런 의미에서 예술 작품 연구는 이러한 빈자리, 다른 말로 의미의 잉여를 활성화시키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. 예술은 의식이 아닌 영역을 내포하고 있고, 정신분석은 의식에서 벗어난 것, 그 무의식 진실을 설명하는 탁월한 영역이기에 우리는 자연스럽게 예술과 정신분석의 합류점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.

 

● 목차
[이유섭] 한국의 신화, 제의, 종교의 정신분석 일고찰 

[강응섭] 플리스에게 보낸 프로이트의 52번째 편지(1896.12.6.) : 정신 기제와 성적 유혹의 구조에 관하여 

[민숙동] 꼬마 한스 사례로 본 유아기 불안 증상 분석 -프로이트와 라깡의 관점에서- 

[김현주] 환상이 전하는 이야기 -프로이트의 『그라디바』 분석을 중심으로- 

[강지현] 프로이트 · 라깡의 관점에서 처녀 귀신 읽기 

[김보미] 뭉크는 어떻게 자기살해를 하지 않았는가? 

[이정우] 꿈 분석의 구조와 사례 -A군의 가위눌림 꿈의 정신분석- 

[강형숙] 상징적 자리의 이탈과 보충적 매듭 

 

출처 : 알라딘

첨부파일
  •             첨부파일이 없습니다